물가·금리 상승에 허리가 휜 소상공인 여러분!
이제 고정비 걱정, 좀 덜어보실 수 있습니다. 7우러부터 시작되는 부담경감 크레딧은 매달 빠져나가는 공과금 · 4대 보험료 일부를 국가가 자동으로 지원하는 디지컬 크레디 ㅅ제도입니다.
"신청만 하면 자동 등록" 방식이라 복잡한 서류 없이도 현실적이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1. 이 제도, 왜 나왔을까?
● 코로나 이후 이어진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속에서도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건 바로 영세 소상공인입니다.
● 공과금·보험료는 줄일 수도 미룰 수도 없는 대표적인 고정지출 항목이죠.
● 이에 정부는 “매달 내지 않으면 안 되는 비용을 대신 내준다”는 실질적 지원 방식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2. 지원 대상 & 금액
대상 | 연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 (2024~2025 매출 기준), 약 311만 명 예상 |
조건 | 2025년 5월 1일 이전 개업, 폐업 중이 아니어야 함 |
지원금액 | 최대 50만 원 디지털 크레딧 – 매달 최대 30만 원, 7·8월 두 달 합산 – 전기·수도·가스 등 공과금 + 4대 보험료 대상 |
3. 신청 기간 & 사용 기간
● 신청 기간
– 일반 사업자: 2025.7.14 ~ 11.28
– 2025년 개업자: 2025.8.1 ~ 11.28
● 사용 기간: 2025.12.31까지 사용 가능
● 예산: 선착순이 아닌 대상자 전원 지급 예정, 다만 카드 등록 누락 또는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가능
4. 신청 방식
1. 온라인 접수
● ‘소상공인24’ 웹/앱, 또는 전용 사이트 부담경감크레딧.kr 이용
2. 카드사 정보 등록
● 본인이 선택한 카드사 1곳 등록 → 해당사 신용/체크카드 자동 등록
● 카드로 공과금/보험료 납부 시 자동 차감
3. 자동 정산
● 등록된 카드로 납부만 하면 → 자동 분석 후 50만 원 한도 내에서 크레딧 차감
5. 꼭 알아야 할 팁 & 유의사항
● 카드사 등록 필수: 지정 카드결제만 인정
● 지출 내역 확인: 공과금+보험료는 반드시 카드 결제되어야 자동 정산 가능
● 복수 사업체는 1인 1사업체 지원
● 중복 수급 불가: 타 보조금과 이중지원 제외
● 영수증 보관 권장: 카드 내역만으로 확인 안 될 경우 대비
● 미등록 카드사나 현금·계좌 납부는 인정 안 됨
● 카드 정보 오기입 시 자동 등록 누락될 수 있음 → 신청 전 반드시 확인
6. 왜 지금 바로 신청해야 할까?
● 매달 고정비 절감은 실질이익으로 직결됩니다.
● 간편한 자동 등록 방식으로, 신청 한 번으로 두 달간 자동 적용돼요.
● 동시 시행되는 다른 정책들과 시너지를 누릴 수 있습니다
(예: 지역화폐 4천억 원 확대, 배달·택배비, 비즈플러스카드 등
7. 추가 지원사업 간단 정리
1) 비즈플러스 카드 – 최대 1,000만 원 한도, 무이자 / 캐시백, 저신용자 대상
2) 배달·택배비 지원 – 최대 30만 원 지원
3) 정책자금 융자, 상생페이백 등 – 중기부·소진공의 다른 사업과 병행 가능
8. 결론 및 신청 주소
● 대상: 연매출 3억 이하 소상공인
● 신청기간: 7.14~11.28 (신규업체는 8.1부터)
● 지원금: 공과금+보험료 50만 원 크레딧
● 신청 채널:
- 소상공인24
- 전용 사이트 부담경감크레딧.kr
- QR코드 혹은 배너 클릭 → 카드 등록 후 자동 차감
이 글을 보셨다면, 7월 14일 이후 바로 신청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놓치면 손해”인 이 실질적인 고정비 지원 기회를 작은 도움이라도 챙겨가세요!
'정보와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동백패스 신청 방법 총정리] 교통비 환급 꿀팁! 대상자부터 실제 혜택까지 완벽 가이드(2025년) (0) | 2025.07.04 |
---|---|
2025년 청년기본소득 신청 총정리! (1) | 2025.07.03 |
신생아 특례대출 소득 기준 상향 '전면 취소'...정책 대출도 줄인다. (2) | 2025.07.01 |
2025년 기준 ‘공시지원금 vs 선택약정’ 완벽 비교 (0) | 2025.06.30 |
2025 아빠보너스제 신청방법 총정리 / 신청자격부터 변경된 지급액까지 한눈에! (1) | 2025.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