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금 0원 + 건강보험료 영향 無
이런 절세 통장, 앞으로 찾기 어려워집니다.
<목 차>
1. 비과세 종합 저축이란?
2. 2025년부터 달라지는 가입 조건
3. 가입 마감일·한도·혜택 총정리
4. 가입 가능한 금융기관과 절차
5. 은행 vs 증권사 - 어떤 차이가 있나
6. 가입 전 알아두면 좋은 꿀팁
7. 마무리 - 올해가 사실상 마지막 기회
1. 비과세 종합저축이란?
비과세 종합저축은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에게 제공되는 절세 금융 상품입니다.
<대표 혜택>
● 금융소득(이자·배당) 전액 비과세
● 건강보험료 산정 시 소득에 포함되지 않음
● 의무가입 기간 없음 (하루만 가입해도 혜택)
● 중도해지 시 세제상 불이익 없음
● 1인당 한도 5,000만 원 (전 금융기관 합산)
※ 예시
65세 박 모 씨가 비과세 종합저축 계좌로 펀드에 5,000만 원 투자 → 500만 원 수익 발생
★ 일반 과세 시 약 80만 원 세금 → 비과세 종합저축은 세금 0원
2. 2025년부터 달라지는 가입 조건
현재(2024년) 조건
● 만 65세 이상
● 장애인
● 국가유공자
● 기초생활수급자
직전 3년 중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 2025년 1월부터 변경 ★
● 기초연금 수급 대상자만 가입 가능 → 기초연금을 못 받는 고령자 약 288만 명 가입 불가
☆ 이 변화로 인해 소득인정액이 기준보다 조금만 초과해도 자격이 사라집니다.
3. 가입 마감일·한도·혜택 총정리
<구분 내용>
가입 마감일 | 2025년 12월 31일 |
한도 | 1인당 5,000만 원 (전 금융기관 합산) |
비과세 기간 | 상품 유지 기간 동안 |
세제 혜택 | 이자·배당소득 전액 비과세 |
기타 혜택 | 건강보험료 영향 없음 |
4. 가입 가능한 금융기관과 절차
가입 가능 기관
● 은행 (국민·신한·우리·하나 등)
● 인터넷은행 (토스뱅크 등)
● 증권사 (주식, ETF, 펀드 등 가능)
● 보험사, 저축은행
절차
● 신분증 지참 후 은행·증권사·보험사 방문 또는 인터넷·모바일 앱 접속
● 자격 확인 및 대상자 등록
● 상품 선택 후 계좌 개설
★ 토스뱅크 – 100% 비대면 가입
● 지점 방문, 서류 제출 불필요
● 대상자 등록 한 번이면 여러 상품 자동 비과세 적용
● ‘키워봐요 적금’, ‘굴비 적금’, ‘먼저 이자받는 정기예금’ 등 가능
5. 은행 vs 증권사 – 차이점
<구분 은행/보험사 증권사>
원금 보장 | O | X |
투자 기간 | 단기·중기 | 장기 가능 |
상품 종류 | 예·적금, 보험 | 주식, ETF, 리츠, 펀드, 채권 |
해외 주식 투자 | 불가 | 해외 직접투자 불가, 국내 상장 ETF 가능 |
6. 가입 전 알아두면 좋은 꿀팁
★ 올해 안에 가입 필수 → 내년부터 기초연금 미수급자는 불가
★ 금융기관 분산 활용 → 은행·증권사 나눠 투자
★ 단기+장기 포트폴리오 → 예금은 안정, ETF·펀드는 수익성
★ 가족 증여와 병행 → 세대 간 절세 효과 확대
7. 마무리 – 올해가 사실상 마지막 기회
비과세 종합저축은 세금 절약과 건강보험료 부담 완화라는 두 가지 장점을 가진 노후 필수 금융상품입니다.
하지만 내년부터 가입 조건이 대폭 제한되므로, 2024년 하반기가 사실상 마지막 기회입니다.
★ 65세 이상이면서 기초연금 미수급자라면 올해 안에 꼭 개설하세요!
'정보와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990원 삼겹살·3000원대 치킨까지! 광복절 연휴 대형마트 특가 총정리 (2) | 2025.08.14 |
---|---|
예금자 보호 1억 시대! 저축은행 3%대 금리 경쟁, 지금 예치해도 될까? (1) | 2025.08.13 |
2025년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꼭 확인해야 할 신청 자격& 기간& 사용처 총정리 (2) | 2025.08.12 |
"놓치면 후회하는 모성보호시간 신청법, 2025년 의무 승인까지 완벽 가이드 (5) | 2025.08.09 |
가전 바꾸면 30만원 돌렵다는 법...2025 으뜸효율 가전환급 프로그램 완벽 가이드 (2) | 2025.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