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청년도약계좌, 뭐가 달라졌을까?
청년을 위핸 대표 목돈 마련 상품, 청년도약계좌!
2025년 들어 정부기여금 상향, 수독 기준 완화, 부분 인출 허용 등 파격적인 혜택이 대거 추가됐습니다.
2024년에도 많은 관심을 받았지만, 2025년형 청년도약계좌는 사실상 '새로운 상품'에 가깝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청년 친화적으로 개선되었죠.
◆ 청년도약계좌 요약 정보 (2025년 기준)
신청기간 | 2025년 상·하반기 분할 접수 (하반기 일정 추후 공지) |
신청 대상 | 만 19세~34세 (병역복무자는 최대 만 39세까지) |
개인소득 기준 |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기준 | 중위소득 250% 이하 (4인 가구 기준 약 1.7억 원) |
납입 기간 | 최대 5년 (60개월) |
월 납입액 | 1만 원 ~ 70만 원 (자유적립식) |
정부기여금 | 최대 월 33,000원 (소득 구간별 차등 지원) |
수령 가능액 | 최대 약 4,698만 원 + 이자 |
주요 혜택 | 비과세, 신용점수 가점, 부분 인출 가능 등 |
◆ 어떤 점이 달라졌을까? 2025년 개선사항
1. 정부기여금 상향
2024년 월 24,000원이던 정부기여금 한도가 ➡️ 2025년부터는 월 최대 33,000원으로 증가!
총 수령액이 더 늘어났습니다.
2. 소득 기준 완화
가구소득 기준이 중위소득 180% → 250%로 확대되어 이전에는 못 받던 청년도 더 많이 신청할 수 있게 되었어요.
3. 부분 인출 허용
이제는 중도에 전액 해지하지 않아도 됩니다!
가입 후 2년 이상 유지 시, 최대 40%까지 부분 인출이 가능해졌어요.
갑작스러운 자금 수요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 거죠.
4. 신용점수 가점 제공
가입 후 2년 이상 성실히 납입하면, 신용점수 5~10점 가점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30 청년들의 금융 생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제도예요.
◆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예시)
본인 납입 | 70만원 × 60개월 = 4,200만 원 |
정부기여금 | 3.3만 원 × 60개월 = 198만 원 |
이자(연 5% 가정) | 약 300만 원 |
총 수령액 | 최대 약 4,698만 원 |
★ 단순 저축만 해도 5천만 원 가까운 목돈이 생깁니다!
★ 여기에 비과세 혜택까지 있으니 이자소득세도 절감됩니다.
◆ 가입 조건, 누구나 해당될까?
▶ 기본 연령 요건: 만 19~34세
(병역 복무자는 그 기간만큼 연령 산정 시 제외)
▶ 개인소득 요건:
-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 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요건:
-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중위소득 250% 이하
- 1인가구 월 소득 약 370만 원 이하, 4인 가구는 약 1,400만 원 이하
★ 직장인, 프리랜서, 자영업자 모두 신청 가능하며
★ 본인 소득과 가구 소득 모두 충족해야 신청이 가능해요.
◆ 유의할 점은?
▶ 중복 가입 불가
- 청년희망적금, 청년내일저축계좌 기존 가입자는 중복 불가합니다.
▶ 중도 해지 시 정부지원금 환수
- 가입 후 3년 미만 해지 시, 정부지원금 전액 환수
- 3년 이상 유지하면 일부(60%) 수령 가능
▶ 은행별 금리·부가 혜택 확인 필수
- 예: 하나은행은 우대금리 조건 충족 시 최대 연 6% 금리 가능
- 급여이체, 카드사용, 자동이체 등 조건 다르면 금리도 다름!
◆ 이런 분들에게 추천!
▶ 매달 10만~70만 원 정도 저축할 여력이 있는 청년
▶ 정부지원 + 고금리 + 신용 혜택까지 받고 싶은 분
▶ 장기적인 목돈 마련을 계획하는 사회초년생, 청년 창업가
▶ 내일저축계좌, 희망적금은 대상이 안 됐던 분
◆ 마무리 – 2025 청년 목돈의 첫걸음은 ‘청년도약계좌’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함께 “5년 후 5천만 원 목돈 만들기”가 가능한 청년도약계좌!
소득 기준도 완화되고, 정부기여금도 커졌고, 금리도 올라가고, 거기에 신용점수까지 올라가는 구조라면
청년에게 이보다 더 좋은 상품이 있을까요?
2025년이 가기 전, 은행 앱 or 영업점에서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해보세요!
현명한 청년 재테크의 시작, 지금부터입니다.
'정보와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동백패스 신청 방법 총정리] 교통비 환급 꿀팁! 대상자부터 실제 혜택까지 완벽 가이드(2025년) (0) | 2025.07.04 |
---|---|
2025년 청년기본소득 신청 총정리! (1) | 2025.07.03 |
2025년 하반기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완벽 총정리... 연ㅇ 매출 3억 이하 경영자, 공과금 ·보험료 최대 50만원 절약 기회 (2) | 2025.07.02 |
신생아 특례대출 소득 기준 상향 '전면 취소'...정책 대출도 줄인다. (2) | 2025.07.01 |
2025년 기준 ‘공시지원금 vs 선택약정’ 완벽 비교 (0) | 2025.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