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와 소식

2026년 복지 예산안 완전 해부 - 아동, 청년, 노인까지 달라지는 혜택 총 정리

by successful woman - jjin 2025. 8. 29.
반응형

" 왜 이번 예산안이 주목받는가? "

 

2026년도 보건복지부 예산안이 발표되었습니다. 총 137조 6480억원 규모로, 올해보다 9,7% 늘어난 규모입니다. 

 

이번 예산안은 단순히 숫자의 확대가 아니라  아동, 청소년, 노인, 취약계층을 모두 아우르는 '생활 밀착형 복지'가 담겼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특히 부모들에게는 반가운 소식인 아동수당 지급 연령 확대, 청년들에게느 ㄴ'청년 미래 적금' 신설, 노인들에게는 기초연금 인상 등, 각 세대가 체감할 수 있는 정책들이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 

 

<  목   차  >

 

1. 아동 : 수당, 돌봄 서비스 확대

2. 청년 : 자산형성, 교통비, 주거 지원

3. 노인 : 기초연금, 일자리 확대

4. 저소득층 : 생계, 의료, 긴급 복지 강화

5. 전국민 : 대중교통 패스, 농어천 기본소득 도입

6.마무리 - 달라지는 복지, 어떻게 활용할까? 


 

1. 아동 아동수당·돌봄 혜택 강화

< 사진출처 : 픽사베이>

 

▶ 아동수당 확대: 9세 미만까지 월 10만 원 지급

   - 지역 우대 정책 반영 최대 13만 원 가능

▶ 돌봄 서비스 강화 : ‘야간 긴급돌봄 수당신설(5,000)

▶ 늘봄학교 맞춤형 간식: 초등 1~2학년에게 국산 과일·과채 제공

 

 

2. 청년 자산형성·교통비·주거 지원

 

▶ 청년 미래 적금: 5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6~12% 매칭

3년간 최대 2,016만 원 마련 가능

▶ 교통 지원: 5~6만 원 대중교통 정액 패스도입

▶ 주거 지원: 청년 공공임대주택 2.7만 가구 3.5만 가구 확대

▶ 비수도권 청년 인센티브: 근속 시 최대 720만 원 지원

 

 

3. 노인 기초연금 인상 & 일자리 5만 개 추가

<사진출처 : 픽사베이>

 

기초연금: 349,360원으로 인상, 대상자 43만 명 추가

노인 일자리: 115만 개로 확대 (90% 비수도권 배정)

고령자통합장려금 신설 고령 근로자 고용 유지 시 기업에 월 30만 원 지원

 

 

4. 저소득층 생계·의료·긴급복지 강화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4인 가구 월 207만 원 수준

의료급여: 부양의무자 부담금 폐지 수급자 5,000명 확대

긴급복지: 예산 552억 원 증가 위기 가구 지원 확대

 

 

5. 전국민 대중교통 패스·농어촌 기본소득

<사진출처 : 픽사베이>

 

대중교통 정액 패스: GTX·광역버스 포함

   - 청년·어르신: 9만 원

   - 일반 국민: 10만 원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 도입: 인구감소지역 주민 24만 명에게 월 15만 원 지급

 

 

6. 마무리 2026, 삶을 바꾸는 복지

 

2026년도 복지 예산은 그 어느 때보다 세대별 맞춤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아이를 키우는 가정부터, 사회 초년생 청년, 은퇴를 앞둔 노년층까지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방향으로 설계되었습니다.

 

 ★ 앞으로 달라질 제도, 미리 알고 준비하면 혜택을 2배로 누릴 수 있습니다.

반응형